반응형 재테크/주식기록5 해외주식 양도세 200만원 납부하고 증권사 갈아타기(키움->삼성) 작년 금리 인하가 있었던 9월부터 12월까지 주식을 부분매도하고 올해 4월에 증권사에 양도세 대행신청을 했습니다. 매도할때마다 대략적으로 수익 금액을 기록하는 편인데, 예상세액을 산출해 보니 기록했던 수익금액에 대한 세금과 꽤 차이가 나더군요. 최종 정산된 세금은 약 200만원입니다. 해외주식은 수익 250만원을 공제하고 그 이후 금액부터 22%의 세금을 매기므로 역으로 계산하면 작년 시세차익은 약 1380만원 가량이네요. 키움증권을 꽤 오래 이용했었는데, 키움증권은 선입선출을 사용하는 증권사이므로 주식 매도 시 가장 먼저 샀던 가격의 주식부터 차례로 매도됩니다. 가격이 우상향하는 주식의 경우 차익이 크게 계산되는 방식입니다. 매년 250만원선에 맞춰 수익 금액을 확정했지만 이번에는 매도물량이 많아 수.. 2025. 5. 9. [자산일지]25년 4월 국채 금리 관망과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 트럼프 말 한 마디에 출렁이는 국제 증시 지난 4월 5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발표 직후 증권 시장은 급격하게 하락했으며 시장 불안정성으로 인해 미국 국채 금리도 타격을 받았습니다.4월 7일 강경한 관세 부과 기조 유지로 미 증시 3대 지수는 3% 급락하며 시작했고 공포탐욕지수는 여타 경제위기에 맞먹는 '4'를 기록했습니다. 장중 관세관련 가짜 뉴스에도 시장은 급격히 반응했습니다. 상호관세 90일 유예, 중국에는 104% 관세 유지한국 시간으로 4월 10일 자정을 넘은 시각에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발표했던 상호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보복관세를 시행하는 중국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며 104%의 .. 2025. 4. 10. [자산일지]25년 2월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자산배분 점검 일지 25년 인플레이션과 하반기 혼조세 예상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월 20일 출범한 이후로 2주가 지났고 그동안 증시에 직격타를 준 이벤트들이 있었습니다. 1월 31일 상승세로 출발한 증시는 어제 새벽 트럼프 정부의 중국 및 캐나다 관세 부과 계획으로 급락 후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https://www.newsroad.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246 트럼프 관세 선언에 뉴욕증시 급락 - 뉴스로드[뉴스로드]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 발표로 인해 급락세로 전환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37.47포인트(0.75%) 하락한 44,5www.newsroad.co.kr 미국 나스닥 종합지수는 19627... 2025. 2. 1. [자산일지]24년 9월 하락장 대비 자산배분 점검 일지 곧 다가올 9월 하락장을 맞이하여 어느덧 2024년도 하반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저는 자산의 대부분이 주식을 비롯한 투자상품에 들어가 있는 적극 투자형이고, 올해도 계절적 하락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9월이 왔습니다. 2024년 8월 5일 블랙 먼데이에 나스닥 지수가 16,200을 기록하고 저번주인 9월 6일 지수가 다시 16,690.83에 도달하면서 강한 하락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번 달에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가 예정되어있으며 빅컷(50bp 인하)과 25bp 인하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빅컷 금리인하는 시장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킨 후 몇달 뒤 경제위기를 맞이하므로, 빅컷이 단행될 시 주식 일부를 매도해 현금자산으로 가지고 있을 계획입니다. 위 달걀 .. 2024. 9. 8. [매매일지]AI 훈풍 속, 엔비디아(NVIDIA) 부분매도 엔비디아, 장중 신고가 기록(480.88 USD) 미국주식은 2020년 코로나19 시기부터 진입해 꾸준히 투자하고 있습니다. 한 종목을 보유하면 1~2년 정도는 갖고있는 편인데, 시장 내 변동성이 커지니 스윙으로 수익을 내볼 겸 매매일지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오늘 포스팅의 엔비디아는 보유한 지 1년이 넘은 주식이지만, 스윙 자금을 위해 일부 매도했습니다. 엔비디아는 2023년 5월 24일인 실적 발표일, 챗GPT가 몰고 온 AI 훈풍을 제대로 맞고 2020년 4월 중순부터 이어진 긴 정체구간을 돌파했습니다. 2022년 10월에는 최저점인 108.13 USD를 기록했죠. 엔비디아에 투자한 많은 서학개미들이 쾌재를 부르셨겠지만, 소액 주주인 저는 갖고 있는 주식에 만족해야죠. 기회는 계속 올 것이니, 조금.. 2023. 7.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