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일지]24년 9월 하락장 대비 자산배분 점검 일지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기록

[자산일지]24년 9월 하락장 대비 자산배분 점검 일지

by 솔타 2024. 9. 8.
반응형

곧 다가올 9월 하락장을 맞이하여


 

9월은 유구한 계절적 하락 장세를 맞이하는 달이다

 

어느덧 2024년도 하반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저는 자산의 대부분이 주식을 비롯한 투자상품에 들어가 있는 적극 투자형이고, 올해도 계절적 하락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9월이 왔습니다. 2024년 8월 5일 블랙 먼데이에 나스닥 지수가 16,200을 기록하고 저번주인 9월 6일 지수가 다시 16,690.83에 도달하면서 강한 하락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번 달에는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가 예정되어있으며 빅컷(50bp 인하)과 25bp 인하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빅컷 금리인하는 시장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킨 후 몇달 뒤 경제위기를 맞이하므로, 빅컷이 단행될 시 주식 일부를 매도해 현금자산으로 가지고 있을 계획입니다.

 

코스톨라니의 달걀(출처 : 최명진 원장, 치과신문)

 

위 달걀 그림에서 현재는 금리 고점인 A지점입니다. 이후 일시적인 시장 유동성 확대가 이루어지는 B에서 이후 경제는 침체기로 들어갑니다. 지표를 분석했을 때 현재 하락장의 정점이 아니며 현금을 비축해둔 상황이고, 9월 6일 금요일 주도주 엔비디아를 일부 매수했습니다.

 

2024 엔비디아의 주가(9.6)
2024 S&P의 주가(9.6)

 

 

가상화폐인 코인에 대해서도 최근 다시 시장 상황을 파악중입니다. 2021년과 2022년에 걸쳐 약간 매수했는데, 금융 네트워크의 한 축으로서 매력을 느껴 좋은 기회가 있다면 매수할 예정입니다. 두 코인 모두 2024년 6월경 고점을 찍고 현재 비트코인은 약간 하락, 이더리움은 매수평단까지 하락해 내려왔네요. 

 

2024. 9.6 비트코인의 주가
2024. 9. 6 이더리움의 주가

 

이더리움의 하락 원인으로는 네트워크 거래량의 감소, 레이어2코인과의 경쟁에서 부진한 결과를 나타낸 것 등이 꼽힙니다. 비트코인은 반감기를 거치며 생산량이 줄어드므로 희소성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이더리움은 그 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가격에서 저는 비트코인을 좀 더 매수할 것 같습니다. 아래 기사에 좀더 상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2749

 

반에크가 꼽은 이더리움 하락 원인 '3가지'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자산운용사 반에크가 최근 보고서에서 이더리움 가격 하락의 원인을 분석했다. 5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보고서는 이더리움 하락 원인을

www.digitaltoday.co.kr

 

 

 

일지는 기록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과거에 했던 예측, 경제상황을 현재에 비추어 보고 전략이 맞았는지를 되짚어 보아야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한달 뒤 10월에 다시 포스팅을 읽었을 때는 더 좋은 전략을 생각해 낼 수 있다면 좋겠네요. 

 


관련 뉴스 / 이벤트

https://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405623

 

‘美 기준금리 인하는 확실한데’···빅컷 여부 두고 전망 엇갈려 - 시사저널e

[시사저널e=송준영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인하 폭에 대한 시장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경기 침체에 적극적으

www.sisajournal-e.com

https://www.dentalnews.or.kr/news/article.html?no=41956

 

[치과신문] 2024년 9월 미국 증시 분석과 전망 | 금리 인하와 대선 사이클의 프랙탈 분석

8월 1일 5,522포인트에서 시작한 S&P500 지수는 8월 첫날부터 하락을 시작해 ‘아시아 검은 월요일‘이라고 불린 8월 5일에 종가 기준 5,186까지 -6.1% 하락했다. S&P500 지수는 이후 쉬지 않고 반등하면

www.dentalnews.or.kr

 


그리드 지수

2024.9.6 그리드 지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