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일지]25년 2월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자산배분 점검 일지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기록

[자산일지]25년 2월 인플레이션을 대비하는 자산배분 점검 일지

by 솔타 2025. 2. 1.
반응형

25년 인플레이션과 하반기 혼조세 예상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연준 의장의 금리 동결을 비난했다 (출처 : 연합뉴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월 20일 출범한 이후로 2주가 지났고 그동안 증시에 직격타를 준 이벤트들이 있었습니다. 1월 31일 상승세로 출발한 증시는 어제 새벽 트럼프 정부의 중국 및 캐나다 관세 부과 계획으로 급락 후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https://www.newsroad.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246

 

트럼프 관세 선언에 뉴욕증시 급락 - 뉴스로드

[뉴스로드]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 발표로 인해 급락세로 전환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337.47포인트(0.75%) 하락한 44,5

www.newsroad.co.kr

 

미국 나스닥 종합지수는 19627.44로 역대 최고가에 근접했습니다. 5개월 전 9월 지수는 16,690.83으로 현재는 9월 대비 17.6% 상승한 수치입니다.

 

작년 9월 중순 FOMC의 빅컷(0.5bp 금리인하) 이후 상당 부분 주식을 정리하고 현금을 비축했습니다. 그러나 증시는 빠른 회복세를 보였고 모두가 기대했던 12월 산타랠리는 없었지만 큰 하락과 조정도 없는 채로 2025년을 맞이했습니다. 

 

 

트럼프 경제 정책의 화두는 관세와 인플레이션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기업 친화적 정책과 새 정부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으로 증시가 잠깐 상승했으나 이는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가상화폐 시장 또한 긍정적인 기대를 했으나, 취임 2일 전 본인의 이름을 딴 TRUMP 코인 및 MELANIA, BARRON 코인을 연속 발행하며 밈코인의 폭발적인 상승 및 가상화폐 시장 내 유동성이 트럼프 일가 코인으로 쏠림 현상을 보였고 가상화폐 커뮤니티는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습니다.  트럼프 일가 코인은 펌핑 이후 현재 하락세를 유지중입니다. 

 

트럼프 정부의 주요한 경제 정책 기조 중 하나는 강력한 관세입니다. 현재 정책처럼 캐나다 및 멕시코에 25%, 중국에 10%의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 자연스럽게 농산물부터 에너지 공업품까지 물가가 상승하고 이는 개인의 소비 지출 비중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170445

 

트럼프 관세 강행으로 가계 부담.."쓸 돈 더 줄어든다"

트럼프 관세 강행으로 가계 부담.."쓸 돈 더 줄어든다", 국제

www.hankyung.com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는 트럼프의 또다른 정책은 불법 이민자 추방입니다. 최근 트럼프 정부는 콜롬비아 불법 이민자를 수송한 비행기 착륙을 콜롬비아 정부가 거절했다는 이유로 관세 25%를 부과하겠다며 즉각 보복에 나선 바 있습니다. 또한 경제적으로 하층에 다수 존재하는 불법 이민자 수백만명을 추방할 경우 낮은 임금으로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공백을 미국 내부에서 채워야 하나, 이는 필시 경쟁 시장의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임금 상승을 불러옵니다. 또한 자국민에게 더 높은 임금을 제공하는 대신 추방한 숫자만큼 소비계층은 줄어들어 일시적으로 '물건을 사주는 사람은 없는데 돈은 더 주고 사람을 써야 한다'는 상황이 생길 우려가 큽니다.

 

관세 장벽을 강행할 경우 더 많은 돈으로 같은 품질의 물건을 구매해야 하는 만큼 인플레이션이 뚜렷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 대중의 밥상 물가와 직결되므로 정부 지지율과 같이 중요한 파라미터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룰 지는 계속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엔비디아와 S&P 500 주가

2025. 2. 1 엔비디아 주가

 

2월 1일 기준 엔비디아 주가는 $120.07로, 중국 딥시크 이슈로 인해 수직낙하했습니다. 훨씬 더 적은 개발 비용으로 Chat GPT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 딥시크가 화웨이 칩을 사용했다고 알려지면서 120 달러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저는 일부 매수했으며 주가가 회복할 때까지 갖고 있을 예정입니다.

 

2025.2.1 S&P 500 주가

2월 1일 기준 S&P 500(SPY) 주가는 $601.82이며 시장 혼조세에도 불구하고 굳건한 모습입니다. ETF 종류는 좀 더 오래 보유할 예정이라 ISA 등을 활용해 국내 운용사에서 모으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2025.2.1 비트코인 가격
2025.2.1 이더리움 가격

비트코인은 24년 9월 73,741,000원 대비 25년 2월 1일 기준으로 112% 상승했고, 이더리움은 3,095,000원 대비 61% 상승했습니다. 반감기 이후 코인 상승장 기대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비트코인은 트럼프 2기 정부에서 규제 완화와 기관 매집 등 긍정적인 이벤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제 1 알트코인 명성에는 미치지 못하는 주가를 보여주며 오히려 솔라나, 리플과 같은 타 알트코인에 유동성이 몰리고 있습니다.

 

 

25년 하반기는 혼조세의 조짐

2020년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달러를 무제한으로 풀었던 양적완화로 인한 미국 정부 부채, 일본의 추가 금리 인상 압박  - 앤케리 트레이드의 위험성, 25년 10월 전후로 마무리되는 비트코인 반감기, 연준부양책과 관세로 영향받은 인플레이션 상승 등 모든 요인들이 25년 하반기 임계점을 넘으면서 증시가 혼조세로 진입할 수 있다는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25년 상반기는 트럼프 정부 2기 출범으로 인해 어떻게든 경제부양을 끌어내겠지만 경제 부채는 언젠가 터질 빚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과 안전자산 매수에 유의하려고 합니다. 그렇다고 너무 빨리 내리면 지난 9월처럼 추가 수익을 놓칠 수가 있으니 균형을 잘 잡아야겠습니다.


그리드 지수

2025.2.1 그리드 지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