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트렌드28

문해력 논란과 미디어의 세대교체 : 숏폼 비디오 플랫폼의 습격 숏폼 비디오 중독이 문해력을 저하시킨다 교사들이 꼽는 청소년층의 문해력 저하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유튜브와 같은 영상 매체에 익숙해진 것, 두 번째는 독서 시간의 감소입니다. 어휘와 문맥의 의미를 읽어낼 수 있는 문해력을 기르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이 독서처럼 다양하고 넓은 분야의 글을 접하는 일입니다. 그러나 짧고 자극적인 영상 매체가 등장하며 청소년층, 그리고 청년층이 독서에 들이는 시간은 점점 짧아지고 있죠. 오늘은 더욱 짧은 숏폼 비디오 플랫폼과 그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숏폼 비디오 플랫폼 3대장 숏폼 비디오 플랫폼으로 가장 유명한 3가지를 꼽는다면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틱톡(TikTok) 중국의 IT기.. 2023. 2. 19.
문해력 논란과 미디어의 세대교체 : 내 집중력이 퇴화하는 이유 당신의 문해력은 평균 이상입니까 '문해력'이라는 말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심심한 사과'의 뜻을 잘못 이해하거나, 3일을 의미하는 '사흘'을 4일로 받아들이는 등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한 데서 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문해력이란 글의 의미와 뜻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소위 이런 논란들은 유저들의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창조논란일 때가 많습니다만, '이 단어를 모르는 것은 상식 부족인가 아닌가'라는 글의 내용을 필두로 찬반논쟁이 오래 이어지더군요. 급기야 청년층, 청소년층의 문해력에 대해 관련 기사들이 쏟아져 나왔습니다. 몇 년 전에는 '난독증'이라는 말이 유행했습니다. 그 후에는 '실질 문맹'과 '활자 중독', 그리고 현재가 '문해력'이라는 단어가 그 순서를 따르.. 2023. 2. 15.
바이낸스가 한국 거래소 고팍스에 투자, 한국 재진출 의도를 드러내다 바이낸스가 한국 시장으로 다시 돌아오다 세계 최대 규모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2021년 한국 시장 철수 후, 다시 2023년 한국으로 재진출 할 계획입니다. 한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고팍스(GOPAX)의 지분 과반수를 인수했습니다. 국내 거래소는 업비트와 빗썸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팍스라는 거래소는 생소하더군요. 거래소 투자 이슈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고팍스(GOPAX)에 대하여 고팍스는 국내 5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입니다. 한국 시장은 업비트와 빗썸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코인원, 코빗, 고팍스가 그 뒤를 잇습니다. 2022년 코인마켓캡 기준, 거래소 시장점유율은 업비트(77.9%), 빗썸(17.1%), 코인원(4.5%), 코빗(0.4%)입니다. 고팍스의 국내 점유율은 .. 2023. 2. 7.
2023 인구절벽의 나비효과와 전망 : 생산가능인구 감소의 현실적인 대응책 전세계적인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어떻게 대비할까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전 세계적인 추세이고 이미 확정된 사실입니다. 늦어도 지금으로부터 12년 후인 2035년 즈음에는 인도와 같은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내수시장의 축소, 노동인구의 부족이 나타나기 시작할 것입니다. 한국, 그리고 다른나라에서도 인구 감소를 매우 중요한 문제사항으로 여기고 정책을 내놓고 있으나 그다지 효과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 국가들이 제시하는 여러 정책의 방향성 중 몇몇은 "국가의 존립을 위해 인구가 필요하다"를 노골적으로 내포하는데, 개인적으로 이는 매우 효과없는 메시지라고 생각합니다. 당장 눈앞의 삶을 힘겨워하는 젊은 세대의 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하면서, 국가를 위해 아이를 낳으라는 메시지에 사람들이 염증을 느끼지나 않으면 다행.. 2023. 2. 5.
2023 인구절벽의 나비효과와 전망 : 인구 감소는 이미 글로벌 추세 세계 각국은 이미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중이다 지금까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한 국가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인구구조적 위기상황을 막기 위해 일본과 중국에서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는가를 설명했습니다. 세계 인구는 2022년 80억을 넘었습니다. 일각에서는 2070년 또는 2080년에 세계 인구는 94억~104억 사이의 정점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사람들은 지구상의 자원을 활용해 경제규모를 키우고 문화를 발전시킵니다. 그 결과, 현재 여러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환경오염, 이상기후, 생물 멸종 위기, 오존층 파괴, 국지적 전쟁 등 자원을 둘러싼 논쟁거리는 끊이지 않습니다. 한 국가의 인구 감소는 분명하고 확실하게 시장 쇠퇴와 연결됩니다. 하지만 그렇.. 2023. 2. 2.
2023 인구절벽의 나비효과와 전망 : 3억의 고령자와 중국의 인구부양책 중국은 3억 명의 고령자를 감당할 수 있을까 중국은 14억이 넘는 거대한 인구를 바탕으로 경제발전을 이뤄왔습니다. 그러나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듯이, 출생인구는 급격히 줄어들고 고령 인구는 늘어나 여러 사회경제적 위기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2021년 중국의 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이미 2억 명을 넘었으며, 2022년 만 60세 이상 인구는 2억 8004만 명입니다. 약 3년 안으로 만 60세 이상 고령인구는 3억 명을 기록합니다. 3억은 기념비적인 숫자입니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고령인구가 3억을 기록한 적이 없습니다. 당사자인 중국은 발에 불이 떨어진 상태인데요, 어떤 인구부양책을 펴고 있는지 알아봅시다. 연금과 고령인구 부양 연금 고갈 전 개혁 중국의 정년은 남성이 만 60세, 여성은 기본.. 2023.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