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타의 노트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1

혼자 여행 홍콩 3박 4일(1) : 란콰이펑, 딤섬스퀘어, 쑨원 기념공원, 만모 사원 동서양의 문화가 매력적으로 녹아있는 홍콩(香港, Hong Kong) 올해 3월 중순 홍콩을 혼자 다녀왔습니다. 두 번째 방문이라 좀 더 익숙한 모습이었지만, 이전에 보지 못했던 새로운 곳들을 방문했습니다. 여행의 목적이 에그타르트와 딤섬 맛집 방문이었기 때문에 목적 하나는 제대로 달성 완료. 여행 경비, 항공권, 유심, 여행자보험, 환전, 숙소, 교통 정보 항공권: 캐세이퍼시픽 왕복티켓 36.1만원(편도보다 왕복으로 검색했을 때 서치 쉬움) 유심: 나무커머스 중국홍콩동남아 실물 USIM 여행자보험: 마이뱅크 환전: 트래블월렛으로 현지 HSBC 은행에서 수수료없이 직접 인출, 비상용 미국 달러 지참 숙소: 에어비앤비 게스트하우스 3박 22만원, 코즈웨이 베이 위치 교통: 지하철, 버스 이용(옥토퍼스 카드 .. 2024. 3. 24.
[매매일지]AI 훈풍 속, 엔비디아(NVIDIA) 부분매도 엔비디아, 장중 신고가 기록(480.88 USD)  미국주식은 2020년 코로나19 시기부터 진입해 꾸준히 투자하고 있습니다. 한 종목을 보유하면 1~2년 정도는 갖고있는 편인데, 시장 내 변동성이 커지니 스윙으로 수익을 내볼 겸 매매일지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오늘 포스팅의 엔비디아는 보유한 지 1년이 넘은 주식이지만, 스윙 자금을 위해 일부 매도했습니다. 엔비디아는 2023년 5월 24일인 실적 발표일, 챗GPT가 몰고 온 AI 훈풍을 제대로 맞고 2020년 4월 중순부터 이어진 긴 정체구간을 돌파했습니다. 2022년 10월에는 최저점인 108.13 USD를 기록했죠. 엔비디아에 투자한 많은 서학개미들이 쾌재를 부르셨겠지만, 소액 주주인 저는 갖고 있는 주식에 만족해야죠. 기회는 계속 올 것이니, 조금.. 2023. 7. 16.
제 48회 SQLD 합격후기(벼락치기, 교재, 공부 전략, 난이도) 제 48회 SQLD 합격후기 2023년 3월 19일에 있었던 제 48회 SQLD 합격 후기를 간략하게 적어보겠습니다. 이번 SQLD를 취득하면서 빅데이터 분석기사, ADsP, SQLD 데이터 3개 자격증을 모두 취득했습니다. 자격증은 기간을 짧게 잡고 커트라인을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과락에 주의하고 기출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편입니다. SQLD 시험은 보통 노랭이라고 불리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의 SQL 기출 서적을 N회독하고 합격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다만, SQLD를 처음 접하는 분들은 기본서를 한 권 갖고 있으면 좀 더 도움이 됩니다. 제 경우 SQL을 기본서로 1회독한 상태에서 기출 서적을 돌려 5일 공부했으며,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넉넉하게 2주 잡고 N회독하면 합격하시리라 믿습니.. 2023. 5. 4.
긱 이코노미와 계약직, N잡러, 프리랜서 : 회사 대신 내 일 인력 시장의 긱 워커(Gig worker)는 점차 확대될 것 긱 이코노미(Gig economy)는 단시간 노동을 거래하는 경제 시장을 말합니다. 회사에 정규로 소속되는 대신, 특정한 노동을 거래하며 단기간의 계약을 맺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긱 이코노미와 긱 경제는 2000년대 후반부터 사용된 용어이지만, 한국에서는 파트타임 잡 또는 단기계약직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 체감됩니다. 최근 주 69시간 노동시간 개편과 정규직 일자리의 감소, 노동시장유연화와 계약직 확산 등의 인력시장 이슈가 가리키는 것은 비교적 분명해 보입니다. 시장은 효율적인 투입-산출과정을 통해 전체 프로세스를 더욱 효율화시키고 변화하는 수요와 공급에 대응하고자 노력한다는 것이죠. 그에 필수적으로 동반되는 것이 인력시장의 .. 2023. 3. 31.
주 69시간 근로시간 개편 확정, 주 52시간 폐지..근로자 압박 우려 주 69시간 근무의 확정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며칠 전, 주 69시간 근무에 대해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2023년 3월 6일인 오늘, 9시에 근로시간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주 69시간 또는 주 64시간 근무안이 확정되었습니다. 실제로 도입된다 할 지라도 우려의 목소리를 감안하여 수정안을 발표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대로 밀어붙인 점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한국은 연 평균 근로시간이 OECD 뒤에서 5위를 기록할 정도로, 길게 일하는 나라입니다. 우리나라 뒤에는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멕시코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 69시간 근무를 할 경우 우리나라가 OECD 연 평균 근로시간 1위를 하는 날도 곧 머지 않겠습니다. 장시간 노동의 법제화는 회사의 노동시간 규율 준수 의지를 저하시키기 때문입니다. .. 2023. 3. 6.
가장 많은 암호화폐 투자자가 있는 상위 랭킹의 10개 국가 : 의외의 공통점 발견 1위는 미국이 아니다 2021년부터 중국 정부에서 대대적으로 코인거래를 강하게 규제하며 암호화폐 시장이 나스닥과 커플링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완전히 회복되기까지에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이고, 실버게이트 사건도 터지니 투자동향은 여유롭게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은 화제를 전환해볼 겸 글로벌 시장의 암호화폐 사용자(소유권) 수 비율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국은 한때 부동산과 함께 주식, 코인 빚투 열풍까지 불 정도로 국민적인 관심이 대단했죠. 그런데 우리나라만 그랬을까요? 달러 양적완화로 넘쳐나는 유동성이 한국에만 영향을 주었을 리는 없고, 세계 각국 시장으로 흘러들어 갔을 게 분명합니다. 노동소득의 성장보다 자본소득의 성장이 큰 것은 세계의 공통적인 현상이니, 암호화폐 코인 시장도 더.. 2023. 3. 6.
반응형